핸드폰 교체, 통신사 이동, 인터넷, 공기계 등

핸드폰 교체 정보 찾고 계십니까? 요즘에는 단말기 교체 기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보통 빠르면 2년 주기로 핸드폰 교체 시기가 이제는 더 길어지고 있습니다.

저의 경우엔, 단통법 이전에는 2년 주기로 교체했었는데요, 요즘엔 기기가 100만 원이 넘어가 비싸기도 하고 성능 역시 별 차이가 없어 굳이 바꿔야 하나 싶어 3년 차 쓰고 4년 채우고 바꿀까 합니다.

주변을 봐도 새로 구매했을 경우 4년 정도, 중고로 바꾸면 2년 정도 쓰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현재 폰을 못쓰겠다 싶으면 바꿔야 하겠죠.


핸드폰 교체 및 통신사 이동

현재 통신사 SK에서 KT 갤럭시 a7 사용 중입니다. LG로 변경하고 아이폰 12로 변경 계획입니다.

궁금한 점이 자급제로 구매해서 LG 통신사 이동하려고 하는데요, 이러면 LG의 자급제로 구매한 다음 변경하기 전 SK 4G 유심을 사용해도 문제없나요?

그리고 5G 기기에는 5G 유심만 사용해야 하나요?

자급제로 구매해 lg 통신사로 이동하려고 하는데 lg 자급제로 구매한 다음 바꾸기 전 sk의 4g 유심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통신사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4G, 5G 상관없이 유심을 교체해야 합니다. 자급제 폰은 상황에 따라서 5G 단말기에서도 4G 요금제로 개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5G 기기에는 5g 유심만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5G 단말기라고 해서 5G 네트워크만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LTE와 5G 모두 지원하는 것이기 때문에 4G 요금제로 개통된 유심을 사용하면 4G 요금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 핸드폰 교체 시기

요즘 핸드폰은 몇 년에 한 번씩 교체하나요? 현재 2년 정도 사용했으며 13사용하고 14교체할 계획입니다.

12사용하다가 13 나오면 중고로 넘기고 넘어가는 것도 좋습니다.

글 시작에서도 정리하였지만 2년 정도에서 교체 주기가 더 길어졌습니다.

아이폰은 3년은 기본으로 사용 가능하며 액정만 안 깨지면 5년도 가능합니다. 아이폰6S 4년 유저로 액정이 깨져서 교체했습니다.

성능상의 문제는 전혀 없으니 2년 사용했다면 더 사용해도 될 것 같습니다.


핸드폰 인터넷 구매 교체 시

인터넷에 자급제 폰 통신사 폰이 더 저렴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지금 2년 약정 중인데 해당 약정을 유지하면서 같은 통신사 폰으로 교체할 수 있을까요?

끝으로 유심칩에 요금제 정보 같은 것이 들어 있다고 하는데요, 제 폰이 오래된 기기라서 새 폰에 유심칩을 넣을 수 있을까요?

인터넷 자급제 폰 통신사폰이 더 저렴한 이유는 약정조건으로 지원금을 제공하기에 기본적으로 더 저렴합니다.

자급 제도 이벤트 및 자체 할인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지만 웬만해서는 통신사 지원금보다 많을 수가 없습니다.

약정 중 해당 약정을 유지하면서 같은 통신사 폰으로 교체는 중고나 자급제 폰으로 바꿀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끝으로 유심은 크기 차이만 있을 뿐 모든 폰에 다 호환이 가능하답니다. 만약 안된다고 하면 재발급 받으면 됩니다.


핸드폰 공기계 구매 교체

지금 갤럭시s9+ 사용 중으로 핸드폰을 바꿀 계획입니다. 하지만 기기가 너무 비쌀 것 같아서 갤럭시s20을 공기계로 공기계로 구매해서 유심칩을 바꿔 사용해도 문제없을까요? 참고로 약정 기간은 한참 전에 끝났어요.

약정이 끝났으면 공시 지원금 받고 갤럭시S21 구매 쪽으로 방향을 잡으세요. 번호 이동 기준으로 0~10만 원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자급 제도 물론 나쁜 선택은 아니지만 100만 원 정도 하기에 비싼 요금제를 이용한다면 2년 약정으로 구입하는 것이 조금 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끝으로, 가끔 유심을 구입하고 기기에 끼운 지 1시간 정도 됐는데 아직도 개통이 안된다면 당황하시는 분들이 계신데요,

이럴 때는 고민하지 마시고 바로 해당 통신사로 연락하셔서 확인해보는 것이 정확합니다. 그럼, 무더위 폭염에 건강 주의하시고요,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것도 참고해보십시오.


Related Posts